We were commissioned by Taroko Mall to create a permanent media experience for their indoor roller rink.
As part of the Taroko Renewed Stage project, we developed three unique concepts.
Blings reimagines the rink as a K-Idol music video stage filled with neon lights, rhythm, and playful fantasy.
As part of the Taroko Renewed Stage project, we developed three unique concepts.
Blings reimagines the rink as a K-Idol music video stage filled with neon lights, rhythm, and playful fantasy.
타로코몰로부터 의뢰를 받아 실내 롤러스케이트장을 위한 상시 상영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세 가지 콘셉트를 전개했습니다.
그 중 Blings는 롤러스케이트장을 네온 조명과 리듬, 경쾌한 판타지가 가득한 K-아이돌 뮤직비디오 무대로 재해석했습니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세 가지 콘셉트를 전개했습니다.
그 중 Blings는 롤러스케이트장을 네온 조명과 리듬, 경쾌한 판타지가 가득한 K-아이돌 뮤직비디오 무대로 재해석했습니다.
Role: Lead Artist — Design, Animation, Character Directing, Lighting & Look Development
Visual Approach
우리는 가상의 아이돌 그룹을 중심축으로 삼아,
70–80년대 레트로 아메리칸 스타일로 확장했습니다.
70–80년대 레트로 아메리칸 스타일로 확장했습니다.
레트로 오브제를 단순히 차용하기보다는 현실감 있는 고증과 재현에 집중했고,
그 시대를 그대로 복원하기보다는 세련된 감각으로 표현했습니다.
그 시대를 그대로 복원하기보다는 세련된 감각으로 표현했습니다.
그 결과, 고풍스러운 재즈바의 분위기와 화려하게 빛나는 디스코 무대,
천장에서 반짝이는 모빌이 함께 어우러진 듯한 블링블링한 레트로 무드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천장에서 반짝이는 모빌이 함께 어우러진 듯한 블링블링한 레트로 무드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We built the concept around a fictional idol group,
expanding it into a 70s–80s retro American style.
expanding it into a 70s–80s retro American style.
Instead of simply borrowing vintage objects,
we focused on authentic references and realistic detail.
The goal was not to replicate the era literally,
but to express it with a refined sensibility.
we focused on authentic references and realistic detail.
The goal was not to replicate the era literally,
but to express it with a refined sensibility.
As a result, the mood captures the elegance of a jazz bar,
the sparkle of a disco stage,
and the shimmer of mobiles above —
blending together into a radiant, “blings”-inspired retro atmosphere.
the sparkle of a disco stage,
and the shimmer of mobiles above —
blending together into a radiant, “blings”-inspired retro atmosphere.

Character Build












Flow of Emotions
우리는 서로 다른 장면들이 이어지며 만들어내는
감정의 흐름에 집중했습니다.
감정의 흐름에 집중했습니다.
무대의 화려함과 일상의 소소함이 교차하고,
현실적인 디테일과 판타지가 겹쳐지며,
현실적인 디테일과 판타지가 겹쳐지며,
관객이 몰입할 수 있는 아이돌 세계가 완성됩니다.
We focused on the emotional flow created as different scenes connect.
The glamour of the stage meets the intimacy of everyday life.
The glamour of the stage meets the intimacy of everyday life.
Reality overlaps with fantasy,
forming an idol world that draws the audience in.
forming an idol world that draws the audience in.
















방 안의 소녀
아늑한 방에서 기타를 치는 소녀는 빛나는 아이돌의 환상을 꿈꾸며, 현실과 무대 사이를 잇는 서사를 만들어냅니다.
아늑한 방에서 기타를 치는 소녀는 빛나는 아이돌의 환상을 꿈꾸며, 현실과 무대 사이를 잇는 서사를 만들어냅니다.
재즈바 무드
고풍스러운 재즈바에 앉은 인물은 빈티지 마이크를 손에 쥐고, 황금빛 조명과 함께 무대의 서막을 열어갑니다.
고풍스러운 재즈바에 앉은 인물은 빈티지 마이크를 손에 쥐고, 황금빛 조명과 함께 무대의 서막을 열어갑니다.
디스코 드라이브인
네온사인 아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자동차 퍼레이드는 디스코 무대의 에너지와 속도감을 더해줍니다.
네온사인 아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자동차 퍼레이드는 디스코 무대의 에너지와 속도감을 더해줍니다.
샹들리에 룸
붉은 커튼과 황금빛 샹들리에 속에서 인물은 반짝이는 오브제들과 함께, 초현실적인 아이돌 판타지를 보여줍니다.
붉은 커튼과 황금빛 샹들리에 속에서 인물은 반짝이는 오브제들과 함께, 초현실적인 아이돌 판타지를 보여줍니다.
The Girl in the Room
In a cozy room, a girl strums her guitar, dreaming of the glittering idol fantasy, weaving a narrative that bridges reality and the stage.
In a cozy room, a girl strums her guitar, dreaming of the glittering idol fantasy, weaving a narrative that bridges reality and the stage.
Jazz Bar Mood
Seated in an old-fashioned jazz bar, a figure holds a vintage microphone, opening the stage curtain under golden lights.
Seated in an old-fashioned jazz bar, a figure holds a vintage microphone, opening the stage curtain under golden lights.
Disco Drive-In
A parade of cars spotlighted beneath neon signs adds the energy and speed of a disco stage.
A parade of cars spotlighted beneath neon signs adds the energy and speed of a disco stage.
Chandelier Room
Amid red curtains and golden chandeliers, the figure, surrounded by sparkling objects, reveals a surreal idol fantasy.
Amid red curtains and golden chandeliers, the figure, surrounded by sparkling objects, reveals a surreal idol fantasy.

















결국 우리가 만든 것은 단순한 장면의 나열이 아니라,
Virtual Idol이라는 존재를 시대와 공간 속에서 되살려낸 경험이었습니다.
Virtual Idol이라는 존재를 시대와 공간 속에서 되살려낸 경험이었습니다.
레트로의 기억과 환상이 겹쳐지며,
누구나 몰입할 수 있는 반짝이는 세계가 완성되었습니다.
누구나 몰입할 수 있는 반짝이는 세계가 완성되었습니다.
이렇듯 Blings는 Virtual Idol과 70–80년대 레트로 아메리칸 무드가 만나
특별한 무대를 만들어낸 프로젝트였습니다.
특별한 무대를 만들어낸 프로젝트였습니다.
In the end, what we created was not just a sequence of scenes,
but an experience that revived the presence of a Virtual Idol within time and space.
but an experience that revived the presence of a Virtual Idol within time and space.
As retro memories and fantasies overlapped,
a sparkling world emerged where anyone could lose themselves.
a sparkling world emerged where anyone could lose themselves.
Thus, Blings became a project where Virtual Idols meet the retro American mood of the 70s–80s,
shaping a truly unique stage.
shaping a truly unique stage.













Credits
Bread Communications
Bread Communications
Client
Taroko
Taroko
Date
2024
Director
Lee Jung-eun
Creator
Lee Seok-bin
Shin Se-na
2024
Director
Lee Jung-eun
Creator
Lee Seok-bin
Shin S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