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Grand Park’s main hall was transformed into an immersive media theme park.
At its heart, a two-story media stage sets the scene, while savanna, forest, polar, and swamp worlds spill outward—extended through an interactive catching app.
서울대공원 메인홀이 몰입형 미디어파크로 리뉴얼하였습니다.
중앙의 2층 미디어 스테이지가 생태 체험의 중심을 이루고,
주변은 사바나·숲·극지방·늪지대 배경과 캐칭 앱으로 확장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Role : Lead Artist — Procedural design & Simulation, Animation, Directing, Lighting & Look Development
Concept & Approach
폭포가 쏟아지고, 사바나의 코끼리가 울며,
 숲 속의 벌새와 곤충들이 날아다닙니다.
바닥을 밟으면 물결이 일고, 나비가 곁을 따라다니며
 장면은 더욱 생생해집니다.

이렇게 이어진 작은 순간들이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를 완성합니다.
서울대공원은 이제, 아이들과 가족이 자연의 이야기를 즐기는
 특별한 목적지가 되었습니다.


Waterfalls roar, elephants call across the savanna, and hummingbirds and insects flit through the forest.
Step on the floor and ripples spread, while butterflies follow close, making every scene feel alive.
Together, these fleeting moments weave into a vast ecosystem.
Seoul Grand Park has become a special destination where families and children can experience the stories of nature.
reference & research img
storyboard & concept drawing
Immersive Stage
메인홀의 중심은 단순한 영상이 아닌,직접 다가가고
체감할 수 있는 무대(stage)입니다.
7미터 높이의 대형 스크린과 공간 전체를 멀리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눈앞에서 만지고 느낄 수 있도록 설계하여,
관람객은 어디서든 서사의 일부가 됩니다.
메인홀을 중심으로 외곽에는 캐칭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
 각 존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를 하나로 연결하고 잡아주는 중심축으로
 메인 미디어 무대가 설계되었습니다.
이 무대는 상시 재생되는 루프 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내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The centerpiece of the main hall is not just a screen, but a stage you can approach and truly feel.
A seven-meter-high media wall and the surrounding space were designed not to be observed from afar,
but to be experienced up close—touchable, tangible, and immersive.
Around the hall, zones powered by the catching application extend the experience outward,
while the main media stage anchors them all as the unifying core.
Even as the content loops continuously,
the stage is designed to deliver fresh and lasting experiences.
media structure
Break down the main film : styleframes and scenes.
Chapter 1: Majestic World | 경이로운 세계
아마존 열대우림의 장대한 풍경이 펼쳐지고, 울창한 나무와 산맥 위로 열대 조류들이 무리를 지어 비행합니다.
카메라는 천천히 아래로 이동하며 대자연의 스케일을 드러냅니다.
화면 전환은 새들의 비행 궤적과 흩날리는 깃털이 장면을 가리며, 자연스럽게 다음 장면으로 이어집니다.
Chapter2 : Into the Deep Jungle | 깊은 정글에서
Scene A – 숲속의 새와 파충류
나무 사이로 뻐꾸기, 큰부리새, 금붉은앵무, 카멜레온 등이 등장하며 열대우림의 생태계를 보여줍니다.
화면 전환과 함께 꽃 꿀을 빠는 벌새가 나타나며 장면이 이어집니다.

Scene B – 곤충과 꽃의 세계
화면은 천천히 아래로 이동하여 장수풍뎅이, 개미, 벌, 애벌레 등 작은 곤충들이
열대우림 속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클로즈업합니다.
꽃잎과 열매, 박쥐까지 등장하여 정글의 세밀한 생명들이 드러납니다.
styleframe
Role: Initial design & Planning, team direction, and final supervision
Chapter 3 : Hummingbirds | 벌새
꽃꿀을 빠는 벌새가 화면 앞으로 날아들며 중심에 자리합니다.
날갯짓의 리듬에 맞춰 나비와 곤충이 뒤따르며 장면은 더욱 생동감을 얻습니다.
배경은 점차 어두워지고, 벌새가 주인공으로 부각되며 꽃과 곤충, 파충류가 어우러진 새로운 세계가 펼쳐집니다.
​​​​​
styleframe
Role: Procedural design & Simulation, Asset development, Animation, Lighting and Look Development.
Chapter 4 : Sound of Nature | 생명의 소리
곤충과 나비의 실루엣들이 어둠 속에서 서서히 사라지며, 이내 수천 마리의 나비 떼가 화려하게 등장합니다.
군집을 이루었다가 흩어지고, 다시 유기적으로 모이며 공간 전체를 가득 채우는 그 움직임은,
단순한 시각적 장면을 넘어 생명 그 자체의 리듬을 보여줍니다.
빛과 색채에 반응하며 부드럽게 흐르는 나비들의 궤적은, 홀 안을 감싸는 거대한 파도처럼 퍼져나갑니다.
자연의 질서와 혼돈을 동시에 담아내며, 결국 화면을 가득 메운 나비들이 공간 전체를 물들이며,
생명의 에너지가 공기 속에 진동하는 듯한 환상적이고 상징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
styleframe
Role: Procedural Simulation, Animation, Lighting and Look Development.
Shared Experience
이를 통해, 단순히 나열된 장면들이 아니라 서로 이어지고
겹쳐지는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가 완성됩니다.
숲과 강, 곤충과 새, 그리고 수천 마리의 나비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순간은 독립적인 장면을 넘어 서로를 반영하며 더 큰 이야기를 만들어냅니다.
관람객은 이 흐름 속에서 자연의 서사를 따라가고,
때로는 압도적으로, 때로는 섬세하게 다가오는
생명의 리듬을 체험하게 됩니다.
결국 이 여정은 단순한 영상 감상이 아니라,
아이들과 가족이 함께 경험하는 몰입과 감각의 기억으로 남습니다.
Through this, what emerges is not a series of isolated scenes,
but a vast ecosystem where each moment connects and overlaps with the next.
From forests and rivers to insects, birds, and swarms of butterflies—
every detail reflects the other, weaving into a larger narrative of life.
Audiences move within this flow of nature’s story,
experiencing rhythms that are at times overwhelming, at times delicate.
In the end, the journey becomes more than watching a film—
it becomes a shared memory of immersion and sensation for families and children alike.
Chapter 5 : King of the Jungle | 밀림의 왕
울창한 밀림 속, 표범·보아뱀·원숭이·클루브시새 등이 모습을 드러내며 정글의 생태계가 펼쳐집니다.
짙은 숲의 깊이가 드러날 때, 마침내 사자가 등장해 천천히 주변을 울립니다.

사자의 포효와 함께 장면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주변의 다양한 동물들이 서서히 모여들며 사자를 중심으로 하나의 질서가 형성됩니다.
숲의 생명들이 어우러져 장대한 클라이맥스를 이루는 순간,
정글은 왕의 무대로 완성됩니다.
styleframe
Role: Procedural design & Simulation, Asset development, Animation, Lighting and Look Development.
Chapter 6 : Waterfall | 폭포
거대한 폭포 속에서 코끼리의 실루엣만 희미하게 보입니다.
물보라와 함께 서서히 형체가 드러나고,
마침내 화면 전체를 가득 채우는 거대한 코끼리가 등장하여 웅장한 스케일을 보여드립니다.
시원하게 쏟아지는 폭포 시뮬레이션은
자연의 압도적인 힘과 생명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styleframe
Role: Initial design & Planning, team direction, and final supervision
Process
다수의 샷과 시퀀스의 룩을 개발하기 위해, Houdini와 SpeedTree를 활용해 추가적인 3D 에셋을 제작했습니다.
자연스러운 물리적 움직임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명력 있는 장면을 구현했으며,
프로시쥬얼한 정글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SpeedTree를 활용했습니다.
 대다수의 씬은 Houdini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그 외는 Cinema 4D로 구축하였습니다. 
최종 장면은 Redshift로 렌더링하고 After Effects에서 합성하여, 결과물을 완성했습니다.​​​​​​​
To develop the look of numerous shots and sequences,
I created additional 3D assets using Houdini and SpeedTree.
Natural physical simulations were employed to bring lifelike motion to the scenes,
and SpeedTree was actively used to express the procedural look of the jungle.
Most of the scenes were built in Houdini,
while the remaining structures were created in Cinema 4D.
The final scenes were rendered with Redshift and composited in After Effects,
completing the visuals.
Role : Overall Creative Direction / Parts 1, 2, 6 – Directed & reviewed / Parts 3, 4, 5 – Created & executed
Outcome
​​​​​​​서울대공원의 메인홀 리뉴얼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하나의 목적지로 변모했습니다.
중앙의 몰입형 미디어 스테이지가 경험의 중심을 이루고,
 사바나·숲·극지방·늪지대로 확장된 생태계가
관람객을 하나의 거대한 자연 서사 속으로 끌어들입니다.
 폭포의 울림, 나비의 떼춤, 코끼리의 포효는 단순한 장관이 아니라,
 가족들이 직접 걸어 들어가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생명의 리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우리는 명확함과 경이로움 사이의 균형을 찾고자 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정교함과 자연의 서사를 엮어내며,
 거대하면서도 친밀한 경험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 결과, 서울대공원의 메인홀은 이제 살아 숨쉬는 무대이자,
 기술과 자연이 맞닿는 장소, 그리고 가족이 함께
 기억과 상상을 쌓아가는 특별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Working as part of the renewal, we set out to transform Seoul Grand Park’s main hall into more than just a venue—it became a destination.
The immersive media stage anchors the experience, while vast ecological worlds of savanna, forest, polar, and swamp extend outward, weaving visitors into a continuous narrative of nature. Every ripple, flutter, and roar was designed not only as spectacle, but as a rhythm of life that families could step into and carry with them.
We want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larity and wonder—blending ecological storytelling with the precision of digital craft. The result is an experience both expansive and intimate: a living, breathing stage where technology and nature converge, and where Seoul Grand Park redefines its identity as a place of memory, play, and shared imagination.
the following are some early rnd and styleframes I created for the project​​​​​​​
For full project details including credits see here
Credits
Bread Communications
Client
Seoul Grand Park
Date
2024

Director
Park Jung-sik

Creator
Lee Seok-bin
Kim Du-hwan
Yoon Hye-in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