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renewed the entire exhibition hall at Jeju Shinhwa World into an interactive experience for families and kids. The space unfolds a calm ecological narrative inspired by Jeju: a large-format background film establishes the time of day and atmosphere, while visitors interact through a mobile-linked “catch & collect” system.
제주 신화월드 전시관 전체를 가족·키즈 타깃의 인터랙티브 체험관으로 리뉴얼했습니다. 제주의 자연 생태를 모티브로 한 서사를 중심으로, 대형 배경 영상이 시간대와 분위기를 잡아주고 관람객은 모바일 연동 ‘캐칭·수집’ 시스템을 통해 체험에 참여합니다.
Visual Approach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시각적 접근은 자연 생태와 서사적 몰입감을 전달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대형 배경 영상은 제주 자연의 시간대와 분위기를 보여주며,
관람객이 서사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관람객이 서사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각 동물 캐릭터는 고유한 모션과 성격을 부여해 개별적 개성을 드러냈으며,
동시에 서로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통해 생태적 연결성을 표현했습니다.
동시에 서로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통해 생태적 연결성을 표현했습니다.
색채와 조명은 ‘자연–환상–몰입’의 세 가지 축을 따라 설계되어,
공간 전체가 하나의 확장된 체험 무대로 작동하도록 하였습니다.
공간 전체가 하나의 확장된 체험 무대로 작동하도록 하였습니다.
The visual approach was designed to deliver an immersive ecological narrative.
Large-scale background films depicted the changing time and atmosphere of Jeju’s natural environment, pulling the audience into the story.
Each animal character was assigned unique motion and personality traits, yet their interactions collectively expressed the ecological interconnection.
Color and lighting followed three axes—nature, fantasy, immersion—so that the entire space functioned as an extended experiential stage.
Role: Procedural Design & Sim, Animation, Asset development, Lighting and Look Development.


Space & Narrative
전시관은 배경 영상 파이프라인과 모바일 인터랙션 레이어를
분리한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분리한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배경 영상은 아침–낮–저녁–밤으로 이어지는 5분 20초 시나리오를
반복 재생하며 공간의 흐름을 잡아줍니다.
반복 재생하며 공간의 흐름을 잡아줍니다.
모바일 앱은 관람객이 직접 동물을 캐칭·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서사적 참여감을 강화했습니다.
서사적 참여감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분리 구조는 현장 안정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보장하면서도,
영상과 인터랙션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습니다.
영상과 인터랙션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습니다.
The exhibition was architected with a separated background video pipeline and mobile interaction layer.
The video loop presented a 5′20″ day-to-night cycle, establishing the temporal flow of the space.
The mobile app enabled visitors to catch and collect animals, reinforcing narrative participation.
This separation ensured stability and easy maintenance, while keeping video and interaction organically connected.







Character & Data Design
총 30종 동물 캐릭터가 제작되었으며, 약 100여 컷의 상호작용 모션이 포함되었습니다.
각 캐릭터는 Unity 기반의 데이터 구조로 구성되어,
모바일 앱과 실시간으로 연동되었습니다.
모바일 앱과 실시간으로 연동되었습니다.
캐릭터의 행동은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관람객 참여와 맞물려
변화하는 ‘살아있는 생태계’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동물 개별성 + 군집적 반응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변화하는 ‘살아있는 생태계’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동물 개별성 + 군집적 반응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A total of 30 animal characters were produced, including around 100 motion clips for interactions.
Each character was structured in Unity data layers to sync in real time with the mobile application.
Their behavior went beyond pre-scripted animation, responding dynamically to visitor engagement.
This enabled the exhibition to depict both individual character traits and a collective ecological system at once.
This enabled the exhibition to depict both individual character traits and a collective ecological system at once.
asset list


















styleframe







Application Layering



팀은 기획과 아트 디렉션을 총괄하며 영상·인터랙션 자산을 모두 제작해,
영상·모바일·현장 환경이 하나의 연속적인 경험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영상·모바일·현장 환경이 하나의 연속적인 경험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했습니다.
Our team led planning and art direction, producing both the motion-graphic film and the interactive assets so that video, mobile interaction, and on-site space work together as one continuous experience.
the following are some early rnd and styleframes I created for the project

Credits
Bread Communications
Bread Communications
Client
Shin-hwa
Shin-hwa
Date
2023
2023
Director
Park Jung-sik
Park Jung-sik
Valley
Lee Seok-bin
Choi Na-ra
Kim Du-hwan
Lee Seok-bin
Choi Na-ra
Kim Du-hwan